책
최고의 집을 만드는 공간 배치의 교과서 / 사가와 아키라
kio467
2014. 5. 6. 16:53
도로에서 바로 현관으로 들어서게 해서는 안됨. (현관 출입구를 측면에 설치한다던가... )
다이닝 룸이나 거실에서 주차장의 지붕이나 자동차가 보이지 않게
위생공간 - 문제
탈의실에서 나오는 모습이 현관에서 보인다.
거실 문을 열면 정면에 화장실.
2층 화장실이 부엌 바로 위
욕조 위 창문이 지나치게 높다.
출입문을 미닫이로 해서 벽에 스위치나 수건 걸이를 못 단다.
쌍여닫이 수납장이 조명 기구에 닿아 활짝 열리지 않는다.
현관 - 거실 - 통로(복도·계단) - 침실 - 위생공간
'수납'에 있어 '폭'보다 '안길이'가 중요
장막벽에 스위치 1·콘센트·에어컨 등을 설치해 두면 부술 때 장애가 된다. (최소한의 전기 설비)
겨울에는 창문에서 48%의 열이 빠져나가고, 여름에는 71%의 열이 들어온다. 북쪽엔 단열창을 설치해 겨울철 결로 현상을 막고 남쪽엔 차열 유리를 설치
계단 주변에 콘센트(청소). 신발장·북쪽에 환기구. 환기구는 급기구와 가깝지 않게
[외단열 통기공법] 결로현상이 적다 (내단열, 내단열 통기공법보다)
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방 넓이의 30%이내
U형 부엌, I형 부엌, L형 부엌, 아일랜드형 부엌.
U,L 부엌은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게 된다!
부엌 구조는 작업동선(냉장고 -> 개수대 -> 도마 -> 조리)을 고려해 설계한다.
※ 내가 이 책을 보면서는 글보다 그림을 많이 그린듯 ;
그린 그림을 싣을 수 없어(타블렛이라거나... 타블렛....) 아쉽네; (스캔은 안됨! ㅋㅋㅋㅋ)
- 구조 내력을 기대하지 않는 단순한 칸막이로서의 벽. 확장이 필요할때 부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설비를 최소로 하라는 얘기. [본문으로]